소개
21세기 세계화 시대는 국제적인 소양 의식을 갖추고 전 세계를 무대로 뛰는 진취적인 인재를 요구합니다.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춰 한국어교육학부는 국내외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한국어교원(2급)을 양성하는 한국어교육전공과 외국인학생 전용으로 한국어통번역사 양성을 위한 한국어통번역학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국어교육전공> 한국어교육전공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 보급 및 확산을 위해 활약할 한국어교육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전공입니다. 본 전공을 졸업하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수여하는 한국어교원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 자격증을 바탕으로 졸업생들은 국내외 한국어교육 기관에 진출하여 외국인과 해외 동포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는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본 전공의 많은 졸업생들은 국내 대학의 한국어센터나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해외 세종학당과 같은 다양한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한국어교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립국어원, 재외동포교육재단과 같은 한국어교육의 정책과 사업을 담당하는 여러 기관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어교육 전공에서는 이러한 전문적인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함과 동시에 국내현장실습, 국외현장실습, 해외현지학기제, 국외인턴십, 한국어교원 인턴양성과정, 한국어멘토링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어통번역전공> 한국어통번역학 전공은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어 기초 기능 교육과 한국문화, 한국 및 현지 간 통번역 교육, 그리고 실무교육을 통해 통번역학 전공에 대한 이해 능력을 신장시키고, Global 한국어통번역학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전공입니다. 이 전공은 외국인 유학생들 전용 학과이며, 졸업 후 취득된 통번역사 자격증을 통하여 국내외 관련 기관의 취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취업 맞춤형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전공에서는 한국어 및 한국 문화 역량(한국어 기초 기능 역량 및 한국 문화 역량 능력) 강화, 통번역 이론 역량(통번역 기능 역량 능력) 강화, 그리고 통번역 실무 역량(통번역 실무 역량 능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전공 과목을 개설하고 세부적인 전공 교육과정을 운영합니다.
진로
국제화의 추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전문인력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 예상되며 여기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치·운영하고,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어학교육과 첨단기자재를 활용한 컴퓨터 교육을 통하여 국제사회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정부기관의 행정직 공무원, 정부기관의 해외홍보 및 해외주재 공무원, 국제관계기관의 사무요원 및 해외주재 사원, 국제협력단을 통한 국제봉사요원, 국제기구의 행정요원, 세계의 NGO의 사무처요원, 남북한 교류의 전문가 양성 및 새로운 국제관계정립에 따른 이론의 개발과 이에 따른 연구요원의 충당, 정책수립을 위한 전문인의 수요증대, 한반도 통일을 대비한 전문인의 수요 등에 대응한다.
교육목표
- 국제적 감각의 배양 - 세계의 창의적인 흐름에 대한 탐구와 적응 - 다문화적 정체성 확립